(2025년) 시니어 인턴십 지원금 신청 방법 총정리

“만 60세 이상 채용하면 최대 550만원까지?” 시니어 고용하면 정부가 돈 준다는데… 진짜일까요? 인턴 지원금, 채용 지원금, 장기 고용 보조금까지 받을 수 있다면 솔깃하죠.

하지만 정보는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지셨을 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시니어 인턴십의 모든 조건, 신청 절차, 주의 사항, 자주 묻는 질문까지 하나씩 쉽게 풀어드립니다. 고령자 고용을 생각 중이라면, 지금 이 글에서 완벽하게 정리해보세요!

✅ 시니어 인턴십이란?

회의 사진

‘시니어 인턴십 지원금’은 정부가 만 60세 이상 고령자를 고용한 기업에 인건비를 일정 부분 지원하는 고용 보조금 제도입니다. 단기 인턴 고용 뿐 아니라 장기 고용 유도, 세대 통합형 일자리 제공까지 아우르며 고령자 재취업 활성화를 돕는 실질적 제도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 지원금 유형 및 금액

image 2

☑️ 일반형 지원금

  • 인턴 지원금: 참여자 1인당 월 최대 40만 원 × 3개월 = 최대 120만 원
  • 채용 지원금: 인턴 후 정규직 전환 시 월 최대 50만 원 × 3개월 = 최대 150만 원

☑️ 세대통합형 지원금

퇴직한 숙련 기술자를 청년 멘토로 최소 6개월 이상 고용할 경우 1인당 최대 300만 원 일시금 지급

☑️ 장기취업 유지 지원금

고용 지속 기간지원금
18개월80만 원
24개월80만 원
30개월60만 원
36개월60만 원
최대280만 원

세 가지 유형을 모두 활용하면 1인당 최대 55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참여 기업 조건

  • 4대 보험 가입 필수 (고용보험, 건강보험, 산재보험)
  • 근로계약 기간은 최소 9개월 이상 (3개월 인턴 + 6개월 이상 채용)
  • 소비향락업체, 다단계 업체, 임금 체불 사업장 등은 신청 불가
  • 중앙·지방정부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에 참여 중인 기업도 제외

✅ 채용 대상자 조건

  • 만 60세 이상인 미취업자
  • 최근 90일 이내 해당 기업에서 근무한 이력 없음
  • 채용 기업의 대표자와 친인척 관계가 아니어야 함
  • 의사, 회계사, 세무사, 경비, 청소원 등 일부 직종은 제외
  • 동일 연도 중복 참여자 또는 장기취업유지지원금 수령자 제외

ChatGPT Image 2025년 4월 10일 오후 11 14 47

✅ 신청 절차 요약

image 3

  1. 참여 신청: 기업이 지역 수행기관에 신청서, 사업자등록증, 4대 보험 가입 확인서 제출
  2. 협약 체결: 승인 후 수행기관과 협약 체결 (서면 제출 또는 방문)
  3. 인턴 채용: 3개월 근무 → 인턴 지원금 신청 가능
  4. 정규직 전환 시 채용 지원금 신청
  5. 근속 유지 시 장기취업유지지원금 신청

단, 협약 체결 전 고용 시 지원금 지급 불가하므로 반드시 선협약 후 채용 진행이 필요합니다.

callimage

✅ 자주 묻는 질문 (FAQ)

  • Q: 모든 업종에서 가능한가요?
    A: 일부 제한 업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업종에서 참여 가능합니다.
  • Q: 정규직 전환은 의무인가요?
    A: 인턴 종료 후 채용 지원금을 받기 위해선 6개월 이상 고용이 필요합니다.
  • Q: 3개월만 근무해도 지원금이 지급되나요?
    A: 인턴 지원금은 가능합니다. 단, 채용 지원금은 추가 근무가 필요합니다.
  • Q: 고용 후 신청도 가능한가요?
    A: 아닙니다. 반드시 고용 전 협약 체결 및 승인 절차를 먼저 진행해야 합니다.

✅ 마무리 요약

시니어 인턴십 지원금은 고령층의 재취업을 촉진하는 동시에,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실질적 제도입니다. 조건만 정확히 맞춘다면 최대 550만 원까지 지원이 가능해, 고령자와 기업 모두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입니다.

지금 바로 지역 수행기관에 문의하시고, 시니어 인턴십 참여 절차를 시작해보세요!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